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otifications
- notification manager
- setPriority(NotificationCompat.PRIORITY_HIGH)
- android notification 예제
- setContentIntent
- setDefaults(NotificationCompat.DEFAULT_ALL)
- NotificationCompat.Builder
- notification channel
- Pending Intent
- 안드로이드 알림
- 버전별 관리
- 알림 인텐트
- 알림 우선순위
- 펜딩인텐트
- 안드로이드 알림채널
- 안드로이드 알림 예제
- Today
- Total
공부용 블로그
블록체인 본문
토렌트랑 블록체인 구조랑 비슷함
삼성바이오 분식회계 사건. 신뢰성 잃음
그 전에 삼성증권에서 가상증권 발행함. -> 불신쌓임
중앙에서 처리하는 구조를 믿을 수 없다. 데이터를 중앙에 의해 조작당할 수 있다. 그래서 중앙의 힘을 분산하자.
블록을 p2p로 서로 가지고 있다. => 목격자 증언 시스템
네트워크가 계속 연결되어 업로드,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데이터 업데이트가 노드끼리의 거리가 멀수록 느려질 수 있다.
서버가 하나에만 의존하지 않고, 여러 서버가 존재할 수 있음. 서버가 불안정할 수 있고 속도차이도 있다.
블록이 다 찼을때 용량문제? 블록 경량화로 해결중
여기서 의문은 왜 내가 네트워크에 연결하고 있어야하지 전기세 아깝게 라고 생각할 수 있음.
그렇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사람에게 코인을 주기로 함. 채굴 난이도를 높여서 돈을 벌게 함
초기 네트워크 기여자에게 돈을 더줌. 네트워크 기여자가 많지 않았었기 때문에(신뢰도가 낮아서)
채굴의 원리
그냥 네트워크 연결만 되어 있으면 주기적으로 코인 조금씩 주면 안되나? 이렇게 연결 유지하는 것이 쉬울경우.
즉 채굴을 어렵게 하는 이유는 네트워크의 좋은 질을 유지하기 위해서
컴퓨터의 성능이 좋을 수록 코인을 찾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짐 -> 네트워크 연결 질이 좋아짐..?
코인의 목적은 네트워크 연결하는 사람에게 보상해주는게 목적. 코인은 실물가치가 있어야 함
(토렌트에서는 영상이 코인과 비슷함)
지마켓도 p2p. 지마켓은 중개만 해줌.
그런데 국가에서 운영한다면 ? 과반수에 의해 데이터의 사실?여부를 결정하는데 과반수가 조작될 수 있다..
블록체인의 큰 단점은 속도가 느림. 그래서 속도를 빠르게 하려는 기술이 발전중 => 라이트닝 네트워크(컨펌을 적게받아도 거래가 성사됐다고 해주자. 신용카드 느낌)
비트코인 캐시 (오픈소스로 만듬)
코인은 환전이 쉬움.
비트코인은 관리주체가 없음. 리플?은 속도가 빠름. 블록체인이 아니라 중앙처리방식이기 때문에 지정한 의미의 블록체인은 아닌거같음.. 거래소에서 돈을 뽑을 수 없음. 비트코인은 자판기가 있음.
채굴방식
POS방식 - 네트워크 유지하면 이자로 몇 코인 줄게. 개인 pc로 채굴할때 문제를 푸는것없이 유지만 해주면 코인을 주는 것
코인은 자체적인 네트워크를 가진 것. 토큰은 플랫폼 내에서 발생.
토큰 - 이더리움.
해시그라프 - 속도 빠름. 단점은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음